가모장, 고달픈 수퍼우먼
가정에선 역할 늘고, 사회에선 유리천장에 갇혀
가정에서 여성의 목소리가 커지기 시작한 건 언제부터일까. 전문가들은 “가모장 사회로의 변화는 시대 변화와 궤를 같이한다”고 입을 모은다. 1960년대 경제개발계획이 시작되고 산업이 한창 부흥할 때는 사회의 중심 가치가 ‘가정’보다는 ‘일’이었지만 사회가 발전하면서 ‘가족’을 우선시하는 사람이 늘었다. 여성의 사회 진출이 활발해지면서 남자는 일을 하고, 여자는 집안 살림만 하던 이분법적 구조도 깨졌다.
TV 속 김숙 보며 가부장 해체 카타르시스
OECD 여성 고용 차별 1위, 유리천장 1위
실제론 여성 우위 아냐…맘충 등 여혐도
이런 움직임은 선진국에서 먼저 시작됐다. 미국의 여성 저널리스트 해나 로진은 책 『남성의 종말』에서 “남자들은 4만 년 동안 세상을 지배했고, 여자들은 40년 전부터 남자를 밀어내기 시작했다”고 말한다. 그는 책에서 2009년을 기점으로 미국 역사상 처음으로 노동력의 균형추가 남성에서 여성으로 기울어진 여성 우위 시대에 접어들었다고 주장했다.
그 이유로는 지식과 서비스가 중심이 되는 후기 산업사회로의 전환을 들었다. 과거엔 몸집이나 체력이 약한 여자가 남자에게 주도권을 빼앗겼지만, 사회 지능과 의사소통 능력이 중요한 현대에 접어들면서 육체적 힘의 우위가 주도권을 결정하지 않는 세상이 된 거다. 한국워킹맘연구소 이수연 소장은 “세대 간의 소통이 중요한 상황에서는 공감 능력이 뛰어난 여자들의 위상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며 “고령화, 저출산 시대도 여성에게 힘을 실어줬다”고 말했다.
이런 변화가 여성에게 긍정적인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가정 내에서 성 역할의 경계가 무너진 게 마치 여성의 지위가 올라간 것처럼 비쳐서는 안 된다는 지적이 나온다. 미디어에서 과장해서 가모장을 다루는 것에 대한 우려도 있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안상수 평등사회연구센터장은 “여성과 남성이 동등한 권리를 가져야 하는 건 맞지만, 마치 우리 사회가 여성 우위 사회인 것처럼 비치는 건 위험하다”며 “아직 사회 곳곳에서 불평등하게 사는 여성들을 더 힘들게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우리 사회가 ‘가모장 사회로 접어들었다’고 말하는 것 자체가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라는 거다.
가모장 사회라는 말 자체에도 부정적인 뉘앙스가 담겨 있다. 가모장이라는 말을 가부장의 미러링 효과(상대의 말과 행동을 모방해 상대의 잘못을 깨닫게 하는 방법)라고 말하는 이유가 여기 있다. 박모(37·여·강남 역삼동)씨는 “가부장이라는 단어 자체가 ‘권위적’이라는 말과 이어지는 것처럼 ‘가모장’이라는 말도 ‘여성이 남성을 지배한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며 “김숙이나 강주은의 행동을 보면서 여성들이 카타르시스를 느끼는 게 아직 우리 사회가 가부장시대를 벗어나지 못했다는 증거”라고 말했다.
여성에 대한 남성들의 혐오심이 증가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가정이나 사회에서 여성들에게 기를 펴지 못하고 지내는 일부 남성들이 여성 비하에 앞장서기 시작한 거다. 백모(33·여·송파구 신천동)씨는 “남자들이 여자들을 ‘김치녀’ ‘된장녀’ ‘맘충’이라고 매도하는 저변에는 ‘여자는 조신하고 남자의 말에 순종적이어야 한다’는 가부장적 사상이 뿌리 깊게 박혀 있다”며 “최근 이슈가 된 반(反) 여성혐오 사이트 ‘메갈리아’에 대한 남성들의 분노도 이와 연관이 있다”고 말했다.
가모장 사회가 여성에게 과도한 역할을 부여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예전에는 남편이 벌어다 주는 돈으로 아이만 키우면 됐지만 이제는 회사에 다니면서 자녀 교육도 해야 하고, 가정 경제도 이끌고, 부모도 부양하는 말 그대로 ‘수퍼우먼’이 돼야 하기 때문이다. 결혼 10년 차 구모(33·은평구 진관동)씨는 “시어머니는 ‘여자도 일해야 한다’고 하면서 자신이 전업주부로 생활하면서 했던 역할까지 기대한다”며 “가모장 사회가 결코 여성에게 좋은 건 아니다”고 말했다. 김모(36·서초 잠원동)씨는 “회사 일이 많아서 집에 조금이라도 늦게 오면 죄인이 된 기분이 들 때가 있다”며 “전업주부라 집안일만 신경 썼던 엄마가 부러울 때가 있다”고 말했다.
사회에서 남녀차별이 여전히 심한 것도 문제다.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여성 노동자들에 대한 차별이 가장 심한 국가로 꼽힌다. OECD가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02년 이래 계속 1위다. 유리천장(여성의 고위직 진출을 가로막는 회사 내 보이지 않는 장벽을 비판하는 말) 지수도 여전히 낮다. 영국 주간지 이코노미스트가 발표한 2016년 유리천장 지수에서 한국은 25점을 받아 OECD 주요 29개국 중에 꼴찌를 차지했다. 유리천장 지수는 고등교육과 남녀의 임금 격차, 기업 임원과 여성 국회의원 비율 등을 종합해 산출하며 지수가 높을수록 사회에서 양성평등이 잘 이뤄지고 있다는 의미다. 집에서는 수퍼우먼이 돼야 하고, 사회에서는 보이지 않는 벽을 깨야 하는 게 오늘을 살아가는 여성이 짊어져야 할 짐이다
'자유로운 이야기'게시판 글
좋은꽃들 |
2022.05.25 |
183 |
0 |
|
좋은꽃들 |
2022.05.25 |
201 |
1 |
|
좋은꽃들 |
2022.05.25 |
180 |
0 |
|
좋은꽃들 |
2022.05.25 |
209 |
1 |
|
좋은꽃들 |
2022.05.25 |
163 |
0 |